(이 글은 정재현 강사님의 '기본부터 실전까지 한 권으로 끝!' 강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아울러 강의 내용은 굳이 필요하지 않는 한 따로 적지 않습니다. 주로 적게 되는 것은 그날 강의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팁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
문제:
Our present joint sales strategy ------ to be in place in time for the upcoming season.
(A) expectation (B) is expected (C) expect (D) have expected
정답:
(B)
빈출 오답:
(A)
오답자들의 생각:
sales가 명사면 동사가 필요하니 (B)가 정답인데, sales가 동사면 어떻게 되는거지?
해설:
joint sales strategy가 '공통(된) 판매 전력'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 빈 칸에는 동사가 들어가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 (C), (D) 중 하나인데 주어인 strategy가 단수 명사이므로 (C)와 (D)는 문법상 오류가 있다. 따라서 (B)가 답이다.
참고:
물론 sales가 동사일 가능성도 있다. 당장에 빈 칸을 제외하고 보이는 문법상 오류는 없다. 'present joint'가 뭔진 모르지만 'strategy ------'를 팔고 있다고 하면 되니까 말이다.
그런데 그렇게 동사를 sales로 하면 자연스레 답은 (A)가 된다. 그리고 나서 그 뒤를 해석하지 않는다면 그대로 (A)를 찍고 넘어가게 된다.
다시 말해, 전체를 한 번 해석하면 (A)를 찍어도 고칠 수 있다. 그런데 그럼 어떤 부분과 맞지 않길래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는 걸까?
Grammarly 프로그램 테스트:
입력:
Our present joint sales strategy expectation to be in place for the upcoming season.
결과:
The word expectation doesn't seem to fit this context.
수정 입력:
Our present joint sales strategy expectation.
결과:
문제 없음.
수정 입력:
Our present joint sales strategy expectation for the upcoming season.
결과:
문제 없음.
수정 입력:
Our present joint sales strategy expectation to be in place.
결과:
The word expectation doesn't seem to fit this context.
중간 결론:
strategy expectation과 to be in place는 어울리지 않을 수 있다.
수정 입력:
Our present joint sales strategy to be in place.
결과:
문제 없음.
수정 입력:
The strategy expectation to be in place exists.
결과:
문제 없음.
수정 입력:
We sales the strategy expectation to be in place.
결과:
The word expectation doesn't seem to fit this context.
수정 입력:
We sales the strategy expectation to be in place.
결론:
The word expectation doesn't seem to fit this context.
수정 입력:
We sales the strategy that expectation to be in place.
결과:
문제 없음.
결론:
위 입력들 중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전부 strategy와 expectation이 같이 쓰였을 때이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오류가 있던 문장들은 중의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고 이를 마지막 예시에서 that를 끼워넣으니 해결된 것으로 볼 때 그 짐작이 타당하다.
다시 말해, strategy expectation은 흔히 쓰는 관용구적인 복합 명사가 아니며, 문장의 목적어가 의미상 strategy가 강조되는 것인지, expectation이 강조되는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to be in place가 수식하는 대상이 모호해지는 것이다.
이 정도는 그래도 문맥상에서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동사가 붙게 되면 동사가 취하는 목적어 역시 위와 같은 모호함이 생기므로 가독성이 심각하게 훼손된다.
이렇듯, 관용구나 문맥에서 이미 등장한 것이 아닌 복합명사에 수식어구가 붙으면 의미가 모호해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함정을 피하고 빠르게 풀기:
참고로, 이 방법은 시간을 소모하므로 먼저 다른 선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다른 선지를 확인해도 답이 확실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만 시도하자.
빈 칸을 채워서 복합 명사 형태가 되는 경우 문장을 꼭 한 번 해석하자. 전체 해석이 불가능하다고 해도 수식어구가 복합 명사들 중 정확히 어떤 단어를 수식하는 지 파악이 되어야 한다. 그것도 불가능하다면 복합 명사를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자. 한 단어로 표현이 안 되면 빈 칸은 복합 명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
문제:
The system for processing reimbursement request forms ------ since Mr. Jonas Hall was hired to work as office manager.
(A) have streamlined (B) streamline (C) to be streamlined (D) has been streamlined
정답:
(D)
빈출 오답:
(D) (다른 구문 분석으로 인한)
오답자들의 생각:
보기에 have가 둘이나 있으니 since는 현재완료시제에 따라 붙는 그 녀석(?)일거야.
해설:
일단 끊어읽기부터 시작해보자.
The system / for processing reimbursement request forms / ------ / since Mr. Jonas Hall / was hired to work / as office manager.
수식어구 표시, 예를 들면 분사, 전치사로 시작하지 않는 무언가를 본다면 주어인 것은 명확하다. 그러니 The system이 주어인 것은 아주 잘 알 수 있다.
동사는 얼핏보면 빈 칸이 동사인듯 하지만 뒤에 was가 있다. was 이하가 관계대명사절인가, 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who만 날려먹는 문법은 없다. 그래서 was는 동사가 맞다.
그런데 얘가 The system에 호응하는 동사인지, Mr. Jonas에 호응하는 동사인지는 파악할 수 있으면 좋다. 물론 풀다가 for를 머릿속에서 임의로 that으로 치환해버린 결과, processing을 잘못된 절의 주어로 생각하더라도 (D)가 정답이긴 하지만 말이다.
방금 문제의 정답을 먼저 말하자면, The system에 호응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Mr. Jonas가 왜 아닌지를 알아야 하니, 여기서부터는 처음에 Mr. Jonas와 호응한다고 생각했다는 가정을 해보려고 한다.
그 오답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since와 보기에 있다. 현재완료시제를 공부했다면 since가 튀어나오고 보기에 have가 있으니 분명 현재완료시제를 의심해볼 만 하기는 하다.
그런데 그렇다면 빈 칸이 동사를 포함하는 답이라고 할 때 forms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 되는 것인가? 그런데 아까 who만 날려먹는 문법은 없다면서 which만 날려먹는 문법은 있는 것일까?
그런 문법은 없다. 따라서 since는 have와 호응할 수 없고, 그래서 since는 평범한 접속사가 된다. since가 접속사이기 때문에 since 앞에서 문장이 끝나고, 그 앞에는 동사가 없으므로 빈 칸은 The system에 호응하는 동사이다. 그래서 (D)가 정답인 이유까지 설명할 수 있다.
문제:
Because the capabilities Mr. Donald demonstrated ------ the expectations for his position, the nominating committee suggests he be promoted to the position of vice president of sales.
(A) exceeding (B) exceeds (C) exceeded (D) to exceed
정답:
(C)
빈출 오답:
(C) (다른 구문 분석으로 인한)
오답자들의 생각:
the capabilities가 목적격 관계대명사절의 목적어 아닌가요?
해설:
문법 문제인데 빈칸 앞에 문장이 완벽하지 않고 because를 봤다면 일단 콤마부터 찾는다. 그리고 그 뒤는 볼 필요가 없다.
그 다음, 동사처럼 보이는 것이 demonstrated이고 the capabilities와 Mr. Donald의 연결이 복합 명사가 되지 않는 것이 자명하니 관계대명사절인 건 알 수 있다.
그런데 그 관계대명사절이 목적어를 취하는 절인데 그 목적어가 the capabilities고 그 뒤는 다시 관계대명사절이면 빈 칸에 다시 동사가 와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C)는 동사로서가 아닌 과거분사로써 앞의 관계절에서 생략되어버린 the capabilities를 수식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러면 큰 문제가 있다. 바로 최조의 절인 Because the capabilities~의 동사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 Because of the capabilities~ 가 되어야 한다.
함정을 피하고 빠르게 풀기:
파악된 절 갯수와 파악된 동사의 갯수를 맞춰보자. 안 맞으면 구문 분석을 틀린 것이다.
'배워가는 날들 > 토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익] 3일차. 능동태와 수동태 (0) | 2018.10.08 |
---|---|
[토익] 1일차. 문장의 구조 (0) | 2018.10.06 |
토익 공부 시작 (0) | 2018.10.06 |